닥터 제이의 특별한 일상

1970년대와 80년대 한국 문학사 정리

   

♠ 시대적 배경

1970년대는 1972년 10월에 있었던 유신선포가 상징적으로 일러주는 암흑과 공포의 정치가 한국인의 삶의 기조, 의식의 방향, 정신사적 추이 등을 근본적으로 조절한 시대였다.

 

반면 우리 역사에서 진보와 발전이라는 말이 가장 많이 거론된 시대이다. 사회적으로 전쟁의 상처가 많이 아물고, 경제적으로는 중진국으로의 진입과 산업화의 가속력이 있었다.

 

삶의 여건도 많이 변화하여, 농촌 사회가 해체되고 농민들이 산업 노동자로 유입되었으며, 이에 따른 인구의 도시 집중으로 말미암아 도시 빈민이 생성되었다.

 

 

♠ 문학적 특성

ㆍ 민족문학론의 재론

ㆍ 리얼리즘 정신

ㆍ 분단논리에 대한 도전

ㆍ 산업화의 부산물로서의 문학의 대중화현상

ㆍ 사회적 계층의 빈부 격차와 그 갈등이 문학적 관심사로 등장

ㆍ 계간지(『창작과 비평』,『문학과 지성』등)를 중심으로 한 비평활동

→ 민주화의 과제,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민족 구성원 내부의 불평등과 갈등 문제, 남북 분단의 문제 등이 문학의 중요한 대상이 된 시기

 

 

♠ 시(1970년대)

1.배경

ㆍ 비민주적이고 억압적인 현실 상황 인식

ㆍ 대중화된 사회의 변동에 대한 비판적 반성

ㆍ 청년 문화와 지적 엘리트주의의 형성

 

2. 특징

ㆍ 절박한 현실 인식을 고통스럽고 의지적인 언어로 형상화함

ㆍ 1960년대 시의 언어에 대한 자율적 인식을 극대화한 의식적 방법론이 부각됨

ㆍ 지적이면서도 내면화된 서정성이 강화됨

 

3. 작품 경향

① 민중시

㉠ 민중의 현실적 삶과 정서의 형상화 : 조태일 <국토>, 신경림 <농무>

㉡ 정치· 사회적 현실 비판 : 김지하 <타는 목마름으로> ,<오적>,

정희성 <저문 강에 삽을 씻고>, 고은<문의 마을에 가서>

㉢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관심 : 정호승 <맹인 부부 가수>, 김창완 <인동 일기>

 

② 모더니즘 시

㉠ 지성과 서정의 조화 : 황동규의 <기항지>, 오세영의 <그릇>

㉡ 현대적 언어 탐구 : 김영태의 <첼로>, 이승훈의 <어휘>

㉢ 자유로운 상상력의 확장 : 정현종의 <사물의 꿈>

 

 

♠ 시(1980)

1. 시대적 특징

- 극도의 양극성을 지닌 시기( 5ㆍ18 ~ 88년 해금시대) : 전환기적 성격

 

2. 시의 특징

ㆍ 내용적인 면에서 민중지향적

ㆍ 양식적인 면에서는 해체ㆍ저항적성격

ㆍ 무크지 운동의 활성 : 『실천문학』,『시와 경제』,『시운동』,『오월시』등

 

※ 무크지 : 잡지를 뜻하는 매거진(Magazine)과 단행본을 뜻하는 북(book)이 결합된 합성어로, 잡지와 단행본의 성격을 가진 부정기적인 간행물을 지칭하는 용어. 1971년 런던에서 열린 국제 잡지 협회의 제 18차 회의에서 제출된 보고서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미국에서는 매거북(Magabook), 부커진(bookazine)이라고도 부른다

 

3. 작품경향

① 서정시의 새로운 변모 : 역사의식, 현실의식을 바탕으로 하면서 서정성을 추구

→ 최두석, 박태일, 오태환, 안도현, 정일근, 김완하, 윤승천, 최영철

 

② 민중시의 시대 : 80년대의 억압된 상황을 고발하고 비판하는 저항시

→ 박노해 『노동의 새벽』(1984) : 이후 근로자ㆍ농민시인들이 활발히 등장

김남주, 김형수, 오복옥, 이산하

 

③ 실험시와 도시파 시의 양상

ㆍ실험시 : 기존 시법을 과감히 부정하고 해체함으로써 정시의 자유로움을 추구하고 현실의 배면에 숨겨져 있는 또다른 진실을 탐구

→ 기형도, 김영승, 장정일, 윤성근, 이승하

ㆍ도시파 시 : 대도시적 삶을 배경으로 상상력의 자유로움을 실험

→ 김혜순, 하재봉, 박덕규, 정한용, 남진우, 이문재, 박상우.....

 

1970년대 민중시 산업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야기된 민중문제가 시의 중심과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그 선두로 신경림의 <농무>, <목계장터>등의 시가 있다. 이는 근대화ㆍ도시화가 빚어 낸 탈향에 대한 강박관념, 농촌의 피폐성, 도시집중화 현상으로 인한 내적 열등감과 울분이 서사성을 띠면서 서술되어 있다. 이 시기의 민중시들은 시가 쉽게 감동적으로 읽힐 수 있다는 가능성과 계기를 보여준다.
저항시 김지하가 일구어 낸 저항시는 매우 뚜렷한 위치를 갖는다. <타는 목마름으로>는 어두운 세계를 밝히는 계시와 같은 구실을 했으며, 타는 목마름의 갈증을 푸는 하나의 청량제로서 작용했다. 어두운 현실과 그 현실을 이겨내는 민중들의 열망을 그는 강렬하고 투철한 시적 의지로 드러 냈다.
비극적
현실인식
황동규의 시는 여행시라는 문법을 통해 우의적으로 재구성해 내는 특징을 보여준다. 그의 비극적 현실 인식은 여행시라는 구조를 통해 내밀하게 드러난다. 고은의 <문의 마을에 가서>는 죽음과 삶의 일체화라는 철학적 테마를 서정성 속에 형상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1980년대 현실에 대한 부정과 저항 현실에 대한 강력한 부정과 저항의 메시지를 형상화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그 현실을 모더니즘으로 재구성해 내는 전위적 실험들을 시도하였다. 곧, 시의 현실 반영적 태도와 현실 구성적 태도가 미묘하게 병치되는 현상을 목격하게 한 시기이기도 하다.
주지주의 오세영의 <그릇>연작은 우리 시에서 드문 철학적이고 사변적인 사유를 구체적인 대상을 통해 드러내고자 함으로써 주지적 시의 한 깊이를 보여준다. 강은교의 허무주의와 실존적 인식도 1970년대 우리 시가 진행되어 온 형이상학적 깊이와 관련된다.
시조의
발달
우리의 전통적인 정서를 계승하면서도 현실에 대한 다양한 인식과 현대적 감각을 살린 원숙한 경지의 작품들이 발표되었다. 이 시기의 시조 시인들로는 김상옥, 이호우, 정완영, 이영도 등이 있다.

 

♠ 소설

1. 특징

ㆍ 사회적 혼란과 시대적 갈등에 고뇌하는 비판적 현실 인식을 보여줌

ㆍ 상황과 대결하여 극복하려는 능동적이고 의지적인 인간상을 형상화함

ㆍ 공동체 의식의 확산으로 역사소설, 분단문학 등 민중 문학의 지평을 확대함

 

2. 작품 경향

① 농촌 공동체 파괴의 현실 고발

→ 산업화에 따른 농촌의 궁핍화 현상과 농민의 고통스런 삶을 형상화함

예> 이문구 <관촌수필>, <해벽>, <우리동네> 연작

송기숙 <자랏골의 비가>, <해벽> : 농민의 저항 의식

김춘복 <쌈짓골> : 농촌 현실 증언

천승세 <낙월도>, <신궁>, 한승원 <그 바다 끓며 넘치며> : 어촌 배경

 

② 산업화와 노동자의 삶의 조건 반성

→ 노동자 계층의 뿌리 뽑힌 삶의 현실과 유랑의식을 드러냄

예> 황석영 <객지>, <삼포가는 길>

윤흥길 <아홉 켤레 구두로 남은 사내>, <직선과 곡선>, <날개 또는 수갑>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③ 일상적 삶의 도덕성과 휴머니즘 탐구

→ 사회전반의 풍속 혼란, 윤리 의식의 동요, 자기 소외의 심화 현상을 비판적이 면서도 인간에 대한 애정이 담긴 시선으로 그려냄

예> 최일남 <노란 봉투>, 박완서 <지렁이 울음 소리>, 최인호 <별들의 고향>

 

④ 분단 현실의 조망

→ 전쟁의 민족사적 의미를 객관적으로 탐구함

예> 박완서 <나목>, <엄마의 말뚝>, 윤흥길 <장마>, 김원일 <노을>

 

⑤ 민족사의 재인식

→ 민중의 삶에 근거한 민족사를 재인식하여 대하 역사소설을 씀

예> 박경리의 <토지>, 황석영 <장길산>, 안수길 <북간도>, 조정래 <태백산맥>,

서기원 <혁명>, 유현종 <들불>, <연개소문>, <임꺽정>, 김성한 <이성계>, <임진왜란>

 

⑥ 월남 참전

→ 자유ㆍ민주의 문제에서 자주의 문제로 인식이 확산되어 반제국주의 의식이 형성되기 시작

예> 조해일 <아메리카>, 황석영 <탑>, 박영환 <머나먼 쏭바강>, 안정효 <하얀전쟁>

※ 여류작가들의 활약 : 박완서, 오정희, 서영은, 김채원, 강석경, 양귀자, 신경숙

 

 

♠ 극문학

ㆍ 매체의 활성화 : <연극평론>, <현대연극>, <드라마>, <한국연극> 등의 창간으로 창작활동의 기반 확대

ㆍ 소극장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전문적인 극단들이 창설

ㆍ 서구적인 극양식과 전통적인 민속극의 구성원리를 새로이 결합시켜 보고자 하는 노력

 

- 오태석 : 인간내면의 미묘한 심리적 갈등을 추구

- 이재현, 윤대섭 : 현실의 부조리에 대한 비판과 함께 삶의 고통을 벗어나고자 하는 인 간의 욕망을 리얼리즘의 수법으로 그려냄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